본문 바로가기
IT/JAVA

[JAVA] FOR 반복문 기초 과정

by 쫄보에서고수까지 2019. 12.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쫄보"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반복 for문 기초 과정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반복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구조

기본적인 구성 입니다.

기본적으로 3가지의 구성요소로 for 반복문을 사용하게 되는데 

A,B,C 라고 설명을 하자면 

A (int i =0;) -> index 부분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작지점 한마디로 0부터 !

ex) Number = 10;  라고 가정.

B (i < Number;) -> 비교 대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i 가 Number (10) 보다 작을때 반복한다 !

C (i++) -> i 로 선언한 0의 값을 돌때마다 증가시킨다 ! (물론 i-- 도 있습니다.)


그럼 샘플로 만들면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

Number 는 10이라고 선언해두고 ,  i가 0 부터 1씩 증가(i++)하며 10보다 작을때 반복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10번 반복 하는걸 말합니다.

0부터 10보다 작을때까지는 0,1,2,3,4,5,6,7,8,9 까지 총 10번 입니다.

그럼 1부터 10까지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라고 하실 수 있는데 .

for(int = 1; i <= Number; i ++ ) 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대한 풀이는 1부터 1씩 증가하여 i 가 10보다 작거나 같을경우까지 입니다.

그럼 , 1,2,3,4,5,6,7,8,9,10 이 나오게 되면서 1~10번 까지 반복 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의 코딩은 0부터 사용하는걸로 코딩되어있고 , 실무적으로 0부터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사용하는 규칙에 따라 0부터 해주시는게 더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9명이 0부터 쓰는데 혼자 저는 1부터 하는게 편한대요 ? 하면 속으로 욕먹기 쉽거나 , 

어차피 다른사람이 고치거나 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혼자가 아닌 프로젝트 및 단체 학습일 경우 숫자는 1부터 있는게 아니라 0부터 있는걸로 생각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설명을 들으셨으니 실제 데이터가 어떻게 찍혀서 나오는지 알아볼 시간입니다.

0부터 10보다 작을때까지 (9) 반복하므로 i는 0~9까지 찍혀서 나옵니다.

Number는 당연히 10으로 고정일테지요 .


결과물 입니다.

우리는 이번 실행으로 

0 부터 9까지 + Number 10 고정 으로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0 또는 1 이 아니더라도 상황에 따라 수많은 경우의 수로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예제) 

엄마가 돈을 10000원을 주었습니다.

아들은 돈 만원을 받고 사탕과 음료수를 사먹으려 합니다.

사탕의 가격은 100원이고 음료수의 가격은 650원 입니다.

돈을 받은 아들은 몇번을 사먹을 수 있을까요 ?

엄마가 준 돈은 만원 입니다.

사탕이랑 음료수 값은 100 + 650 = 750 이지요

그걸 Set 라고 선언 해두었고.

for 반복문을 돌립니다.

엄마가 준 돈 보다 클때까지 

간단하게 사탕,음료수 세트를 못살때까지 가 되겠죠

빨간색 네모칸 안에 MomMoney -= Set ; 라고 적혀있는것은

대입연산자를 사용하였습니다.

-= += /= %= *= 의 종류 들이 있고

A += B 라고 가정한다면 

A = A + B  결과와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A -= B 도 A = A - B 결과 값과 같겠지요 

따라서 , MomMoney -= Set 는 

MomMoney = MomMoney - Set 결과값이랑 같고

엄마가 준돈에서 세트 750원을 반복할때마다 마이너스 하는 결과값이랑 같습니다.

 

결과물

엄마가 준돈을 10000 - 750 / 9250 - 750 / 8500 - 750.... 하면서 

마지막엔 13번 반복을 하였고, 돈은 250원이 남은 결과가 나왔네요 !

이러한 예제들을 하나씩 만들어 가시면서 꾸준히 연습해둡시다 ~!






















반응형
LIST

댓글